3.1 라우팅 테이블의 구성요소 해석
3.1.a 라우팅 프로토콜 코드
- 가장 기본적인 C,S,I,R,B,D,O는 외워야 함.
3.1.b Prefix
3.1.c 네트워크 마스크
/32 | 255.255.255.255 |
/31 | 255.255.255.254 |
/30 | 255.255.255.252 |
/29 | 255.255.255.248 |
/28 | 255.255.255.240 |
/27 | 255.255.255.224 |
/26 | 255.255.255.192 |
/25 | 255.255.255.128 |
/24 | 255.255.255.0 |
3.1.d 다음 홉
3.1.e 관리 거리
Route Source | Default Distance Value |
Connected interface | 0 |
Static route | 1 |
EIGRP sumary | 5 |
e BGP | 20 |
i EIGRP | 90 |
IGRP | 100 |
OSPF | 110 |
IS-IS | 115 |
RIP | 120 |
EGP | 140 |
e EIGRP | 170 |
i BGP | 200 |
Unknown | 255 |
3.1.f 메트릭
- 여러개의 배운 라우팅 중에서 AD값이 같으면 바로 뒤에있는 매트릭값을 통해서 비교한다.
- routing protocols dynamically change advertised route metrics based on things like interface bandwidth
3.1.g Gateway of last resort
- 라우팅 테이블에 특정 목적지에 대한 특정 경로가없는 경우 gateway of last resort(Dufalt route)가 사용됨.
3.2 라우터가 기본적으로 전달 결정을 내리는 방법 확인
- Check for the Longest Prefix match
- Lowest administrative distance(AD)
- Lowest routing metric 매우 중요 -순서가 정말 많이 나옴
3.2.a 최대 길이 일치
- 라우터는 목적지에 대한 최적경로를 찾을 때, 목적지의 네트워크 bit가 가장 많이 일치하는 것을 우선 선택한다.
3.2.b 관리 거리
- 최대 길이가 일치하고, 라우팅코드만 다를 때, 라우팅 방법별 ad를 이용하여 최적의 목적지를 찾음(ad가 낮을수록 선택됨.)
3.2.c 라우팅 프로토콜 메트릭
- 최대 길이도 일치, 관리거리도 일치 할 때 사용하는 값
3.3 IPv4 및 IPv6 정적 라우팅 구성 및 확인
3.3.a Default Route
- 적절한 경로를 발견하지 못한 네트워크는 모두 이곳으로 가기 위해 미리 관리자가 지정해 놓은 경로
- 적절한 경로를 찾지 못할 경우 디폴트 라우트 경로로 전송하게 됨.
- 주로 인터넷에 연결된 라우터에 많이 사용.
- 목적지 IP가 변경되어도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 갈 수 있음.
- ip route 0.0.0.0(목적지 주소) 0.0.0.0(서브넷마스크) 10.0.255.2(next-hop) (Ipv4)
- ipv6 route ::/0 2001:255::2 (Ipv6)
3.3.b 네트워크 경로
- 알려진 네트워크 목적지에 라우팅
- ip route 10.0.0.0(목적지 주소) 255.255.255.0(서브넷마스크) 10.0.255.2(next-hop) (Ipv4)
- ipv6 route 2001::/64 2001:255::2 (Ipv6)
3.3.c 호스트 경로
- 알려진 호스트 목적지에 라우팅
- ip route 10.0.0.21(목적지 주소) 255.255.255.255(서브넷마스크) 10.0.255.2(next-hop) (Ipv4)
- ipv6 route 2001::21/128 2001:255::2 (Ipv6)
3.3.d Floating Static
- 이중화된 회선 구성, 평소에는 한 회선을 주회선으로 사용하다가 주회선에 장애가 발생하면 백업회선으로 자동으로트래픽을 전달하는 라우팅방법
- 경로를 "Floating"으로 만들려면 AD를 기본 경로보다 높게 설정하고 다른 next-hop을 설정함.
- ip route 10.0.0.0 255.255.255.0 10.0.255.2 <Primary route> (Ipv4)
- ip route 10.0.0.0 255.255.255.0 10.0.255.3 5<Floating route> (Ipv4)
- ipv6 route 2001::/64 2001:255::2 <Primart route> (Ipv6)
- ipv6 route 2001::/64 2001:255::3 5 <Floating route> (Ipv6)
3.4 단일 영역 OSPFv2 구성 및 확인
- OSPFv2 Overview
- OSPF는 link-state protocol 이다.
- 디폴트 AD는 110이다.
- Link Local Multicast Address는 224.0.0.5 & 224.0.0.6 (DR/BDR)이다.
- Dijkstra SPF 알고리즘이다.
- Autonomnous system Number대신에 프로세스 ID를 사용한다.
- OSPF 내에서 라우팅 도메인 인 Area를 사용한다.
- 디폴트 timers는 hello=10 dead=40이다.
- 매트릭값(Metric value) - Cost Based on its auto cost refrence bandwidth calculation
3.4.a 인접 라우터 인접성
- 조건
- 같은 서브넷
- 고유한 Router-ID
- 같은 Area ID
- 같은 hello and Dead timers
- 같은 MTU + 프로세스 ID는 같거나 달라도 상관없다.
< 이부분 문제 요령 > - 문제에서 OSPF단어와 빨간글자만 읽어도 답을 풀수있음.
3.4.b PPP(Point to Point)
- OSPF가 HDLC & PPP 와 같은 L2 WAN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시리얼 인터페이스 링크에서 운영될 때, 포인트 투 포인트 네트워크 타입에서 실행됨.
3.4.c 브로드캐스트(DR/BDR selection) - 이더넷 인터페이스
In a multi-access (Broadcast)OSPF topolgy designaged router(DR) and backup designated routers(BDR) are used to relat routing updates. DR routers help scale OSPF topologies so that there is less infromation for each router to process
다중 액세스 (브로드 캐스트)에서 OSPF topolgy 지정 라우터 (DR) 및 백업 지정 라우터 (BDR)는 라우팅 업데이트를 관련시키는 데 사용됨. DR 라우터는 OSPF 토폴로지를 확장하여 각 라우터가 처리 할 정보를 줄임.
OSPF DR/BDR 선출방법
1. 가장 높은 OSPF 인터페이스 priority (1 by default)
2. priority가 전부 디폴트거나, 같은 값일 때는 가장 높은 라우터 ID
3.4.d 라우터 ID
- 각 OSPF 라우터는 고유한 ID를 가져야함.
- x.x.x.x 형식으로 십진수 값
- 라우터 ID 선출과정
- 일반적으로 구성된 라우터 ID
- 가장 높은 루프백 IP주소
- 가장 높은 인터페이스 IP주소
3.5 First Hop Redunancy 프로토콜의 목적 설명
- 게이트웨이 이중화 프로토콜
-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하나의 게이트웨이가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와 끊김없이 엑세스할수 있다.
- FHRP에 참여하는 라우터는 가상 IP 주소 (VIP)를 기본 게이트웨이로 공유한다.
- FHRP 토폴로지의 한 라우터가 Active 게이트웨이가 됨.
- 정상적으로 Active 게이트웨이가 다운되면 Standby 라우터가 VIP(virtual Ip address) 요청을 인수하여 기본 게이트웨이로 응답 할 수 있음.
- 종류
- HSRP
- Cisco 전용
- 라우터는 가상 MAC주소와 IP주소를 LAN Gateway로서 공유한다.
- Primary 라우터 와 Standby 라우터가 사용됨.
- Virtual mac address 형식 - 0000.0C07.ACxx - xx는 group number
- VRRP
- IEEE RFC 표준 프로토콜
- 라우터는 가상 MAC주소와 IP주소를 LAN Gateway로서 공유한다.
- Primary 라우터 와 Standby 라우터가 사용됨.
- Virtual mac address 형식 - 0000.5E00.01xx - xx는 vrid
- <VRRP 가상 맥어드레스 형식이 덤프문제로 존재>
- GLBP
- Gateway Load Balnacing Protocol
- 라우터는 IP주소를 LAN Gateway로서 공유한다.
- Virtual mac address 형식 - 0007.B400.xxyy - xx는 group number, yy는 avf
- HSRP
'Network(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네트워크 액세스(2) (0) | 2020.11.03 |
---|---|
2.0 네트워크 액세스(1) (0) | 2020.11.02 |
1.0 - 네트워크 기초(2) (0) | 2020.11.02 |
1.0 - 네트워크 기초(1) (0) | 2020.11.02 |
CCNA 200-301 시험 가이드 (0) | 202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