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Rapid PVST+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의 필요성 및 기본 작업 설명과 기본 작업 식별
- Redundant switching topologies 에서 MAC 주소 전달은 브로드 캐스트 스톰을 유발하고 네트워크를 중단시킬 수있는 레이어 2 트래픽 루프에 취약함.
- STP(Spannig-tree)는 layer2 트래픽 루프를 예방하는 프로토콜임.
- 두 개 이상의 경로가 발생하면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로들을 자동으로 block state로 두었다가 만약 기존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막아놓은 경로를 해제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 기본적으로 Cisco 스위치는 Cisco 독점 IEEE 802.1Q 호환 VLAN 별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인 PVST +를 사용함.
- show spanning-tree로 출력되는 화면에서
ieee | PVST+ |
rstp | Rapid PVST+ |
2.5.a 루트 포트, 루트 브리지(기본/보조) 및 기타 포트 이름 - stp 나오면 그냥 뭐든지 가장 낮은 값 찾아 나가면됨.
- 루트 브리지:
- STP 토폴로지에서 하나의 스위치는 루트 브리지로 선출됨.
- 토폴로지의 중심 참조 점 역할을 함.
- 루트 브리지는 가장 낮은 브리지 priority가지면 선출된다.
- default 일때, 가장 낮은 맥어드레스 주소를 가진 스위치가 루트 브리지로 선출된다.
- 루트 브리지의 모든 포트들은 항상 포워딩 상태이다.
- 루트 포트:
- stp 토폴리지안의 각 스위치에서 루트 브리지에 가장 가까운 포트
- 루트 포트는 항상 포워딩 상태이다.
- 데지그네이티드 포트:
- 블락킹 상태가 아니면서, 루트포트가 아닌 포트
-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도 항상 포워딩 상태이다.
- 하나의 세그먼트(스위치간에 연결된 링크) 간에 하나씩 존재해야 함.
- Alternate Port or 논 데지그네이티드 포트:
- stp 토폴로지안에서 하나의 포트는 블락킹 상태로 남아있다.
2.5.b 포트 상태(Forwarding/Blocking)
- Switchports running Rapid PVST+ operate in three differrent port states
- DIscarding: state of a switchport when it first comes up in blocking mode
- Learnig: In this state the switchport starts to learn MAC addresses
- Forwarding: In this final state the swatichport to acually forward traffic
2.5.c PortFast 이점
- STP 컨버전스 타임을 최소화 시킨다.
- 이전의 두 단계를 건너뛰고, 즉시 포워딩상태로 전환한다.
- PC나 서버같은 종단 장치가 접속된 포트에선 스위칭 루프가 발생하지 않는므로 엔드포인트 장치에서 많이 사용
2.6 Cisco 무선 아키텍처 및 AP 모드 비교
Local mode | FlexConnect mode |
기본모드, 두개의 capwap 터널로 통신 하나는 매니지먼트용, 또 다른 하나는 데이터 트래픽용 | 한개의 capwap터널로 관리(매니지먼트용) 트래픽을 통신 데이터 트래픽은 지점 라우터에 의해 통신 |
하나라도 끊어지면 통신이 불가 | WLC와의 연결이 끊어져도 통신가능, 로컬로 트래픽을 보냄 |
중앙 스위칭 모드 | 로컬 스위칭 모드 |
2.7 WLAN 구성요소(AP, WLC, 액세스/트렁크 포트 및 LAG)의 물리적 인프라 연결 설명
- 무선 트래픽을 유선 네트워크 APs 및 WLCs로 전달하려면 물리적 연결이 필요함.
- WLC Connections
- WLC는 일반적으로 코어 스위칭 디바이스 연결에 트렁크포트를 사용
- WLC 트렁크포트는 하나의 링크가 될 수 있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LAG를 사용하는 것임.
2.8 AP 및 WLC 관리 액세스 연결(텔넷, SSH, HTTP, HTTPS, 콘솔 및 TACACS+/RADIUS) 설명
- AP management
- 경량 APs가 등록되면 wlc에 의해 관리되며 실제로 직접 액세스 할 필요가 없다.
- WLC management
- WLC는 주로 HTTPS & SSH를 통해 관리됨.
- Local or tacacs+/Radius AAA is supported
- CPU ACLs로 네트워크 접근 제한을 관리할 수 있다. - 덤프문제로 존재
2.9 GUI만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연결을 위한 무선 LAN 액세스 구성요소(WLAN 생성, 보안 설정, QoS 프로필
및 고급 WLAN 설정) 구성
- 직접 실습해보기 생략~
'Network(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 IP 연결 (0) | 2020.11.03 |
---|---|
2.0 네트워크 액세스(1) (0) | 2020.11.02 |
1.0 - 네트워크 기초(2) (0) | 2020.11.02 |
1.0 - 네트워크 기초(1) (0) | 2020.11.02 |
CCNA 200-301 시험 가이드 (0) | 202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