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 썸네일형 리스트형 3.0 IP 연결 3.1 라우팅 테이블의 구성요소 해석 3.1.a 라우팅 프로토콜 코드 - 가장 기본적인 C,S,I,R,B,D,O는 외워야 함. 3.1.b Prefix 3.1.c 네트워크 마스크 /32 255.255.255.255 /31 255.255.255.254 /30 255.255.255.252 /29 255.255.255.248 /28 255.255.255.240 /27 255.255.255.224 /26 255.255.255.192 /25 255.255.255.128 /24 255.255.255.0 3.1.d 다음 홉 3.1.e 관리 거리 Route Source Default Distance Value Connected interface 0 Static route 1 EIGRP sumary 5 e BGP 20 i.. 2.0 네트워크 액세스(2) 2.5 Rapid PVST+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의 필요성 및 기본 작업 설명과 기본 작업 식별 Redundant switching topologies 에서 MAC 주소 전달은 브로드 캐스트 스톰을 유발하고 네트워크를 중단시킬 수있는 레이어 2 트래픽 루프에 취약함. STP(Spannig-tree)는 layer2 트래픽 루프를 예방하는 프로토콜임. 두 개 이상의 경로가 발생하면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로들을 자동으로 block state로 두었다가 만약 기존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막아놓은 경로를 해제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기본적으로 Cisco 스위치는 Cisco 독점 IEEE 802.1Q 호환 VLAN 별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인 PVST +를 사용함. show spanning-tree로 출력.. 2.0 네트워크 액세스(1) 2.1 여러 스위치를 스패닝하는 VLAN(정상 범위) 구성 및 확인 2.1.a 액세스 포트(데이터 및 음성) Access port는 네트워크의 말단에 연결됨. 말단장치의 예 PCs Phones Printers Cameras Wireless APs Access port는 VLAN tagging의 의미가 없다. 그래서 연결된 장치들은 untagged frames을 보내야한다. Untagged data traffic이 access port에서 수신되면 인터페이스에 프로비저닝 된 access VLAN의 일부로 간주됨. #conf t → (confing)#int ex) f0/1 → (confing-if)#swtichport mode access로 사용 +(confing-if)#swtichport access vl.. 1.0 - 네트워크 기초(2) 제가 잘 아는 개념은 패스패스 했습니다~~~~ 잘 모르거나 좀 더 필요성이 있어보이는 항목만 ~ 1.5 Compare TCP to UDP TCP UDP Stateful Stateless Reliable, 신뢰성이 높다 Unreliable, 신뢰성이 낮다 연결형 비연결형 가상 회선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 전송순서 보장 전송순서 비보장 수신여부 확인 수신여부 비확인 1대1 통신 1대1, 1대N, N대N 통신 전송속도가 느리다 전송속도가 빠르다 3-way-handshaking 및 4-way-handshaking 사용, 체크섬,흐름제어, 혼잡제어 사용 체크섬만 사용 최소 20 바이트 헤더 8바이트 헤더 HTTP/HTTPS 사용 DNS,DHCP사용 Protocols that use TCP or UDP - 드래그 앤.. 1.0 - 네트워크 기초(1) 1.2 네트워크 토폴로지 아키텍처의 특징 설명 1.2.a 2 Tier Campus networks consist of three tiers Core Default Gateways Layer 3 Routing Distribution Uplink aggregation where switch to switch links interconnect Layer 2 switchig Usually all fiber connections Access Where endpoints connect to the network Usually all copper connections 2 티어 디자인은 core와 distribution 가 기능적으로 하나의 티어로 결합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1.2.b 3 .. CCNA 200-301 시험 가이드 20% 1.0 네트워크의 기초 1.1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역할과 기능 설명 1.1.a 라우터 1.1.b L2 및 L3 스위치 1.1.c 차세대 방화벽 및 IPS 1.1.d 액세스 포인트 1.1.e 컨트롤러(Cisco DNA Center 및 WLC) 1.1.f 엔드포인트 1.1.g 서버 1.2 네트워크 토폴로지 아키텍처의 특징 설명 1.2.a 2계층 1.2.b 3계층 1.2.c 스파인-리프 1.2.d WAN 1.2.e SOHO(Small Office/Home Office) 1.2.f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1.3 물리적 인터페이스 및 케이블 유형 비교 1.3.a 단일 모드 파이버, 다중 모드 파이버, 구리 1.3.b 연결(이더넷 공유 미디어 및 PPP(Point to Point)) 1.3.c PoE의 개념.. 이전 1 다음